의학정보
내용
1) 임질
: 임질은 임균이라는 미생물에 감염되어 생기는 전염성 질병으로 증상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방치하기 쉬우나 치료하지 않으면 방광과 신장에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나팔관에 전염되면 영구 불임을 초래할 수도 있다. 치료가 가능하므로 방치만 하지 않는다면 임신에 큰 무리는 없다.
2) 심장병
: 임신중에는 태아가 성장함에 따라 태아에게 보내는 모체의 혈액량이 증가한다. 특히 임신 35~36주 사이에는 평소보다 40~50%나 증가함으로 그만큼 심장에 부담이 간다. 따라서 심장 질환이 있는 여성이 임신을 할 경우 조산이나 사산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임신 전에 전문가와 상의하여 임신 가능성을 미리 상의한다. 임신을 한 경우에는 우선 휴식과 수면을 충분히 취하고 절대 무리하지 않는다. 또한 분만 예정일보다 약 2주 전에 입원하여 안정을 취한 다음 출산을 하는 것이 좋으며 출산 후에도 2주 정도 입원하는 것이 안전하다.
3) 저혈압
: 저혈압 때문에 임신을 못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므로 임신 중에 과격한 행동을 피하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4) 고혈압
: 고혈압 때문에 임신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임신중독증에 걸리기 쉽고 이로 인해 혈압이 올라 출산 후에도 위험해 질 수 있다. 따라서 고혈압인 여성은 임신 초기부터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영양을 균형있게 섭취하며 적당한 운동을 해야 한다. 임신 중인 경우에도 일반적인 고혈압 치료와 동일하게 식이요법, 강압제 복용, 안정 등을 취하되 의사와 충분히 상의한다.
5) 만성신장염
: 급성신장염은 완치되면 임신에 지장을 주지 않지만 만성일 경우에는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임신 중독증에 걸리기 쉽다. 이 경우 태아의 발육이 나빠질 뿐 아니라 모체에도 심각한 합병증이 유발되는데 산후에도 그 후유증이 남아 모체 사망률이 약 20~30%에 달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임신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으며 병이 나았다 하더라도 일정한 기간을 두고 혈압과 소변검사를 받아 완치되었는지 확인한 다음 임신을 하는 것 이 좋다
6) 결핵
: 현재 진행성이거나 개방형 결핵인 경우에는 임신을 피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완치된 후나 그 정도가 심하지 않을 때에는 의사와 상의해서 임신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결핵을 앓게 되면 폐활량이 적어 분만시 배에 힘을 충분히 주지 못하므로 제왕절개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또한 태아는 분만과 동시에 엄마와 격리해야하며 모유 수유도 피하는 것이 좋다.
7) 당뇨병
: 당뇨병을 앓으면 임신중독증에 걸릴 확률이 4배 정도 높아진다. 일단 정확한 검사로 임신 전에 당뇨를 발견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식이요법이나 약물 치료를 받았다 하더라도 당뇨병력이 있는 임산부는 임신기간 내내 전문의의 진료를 받을 필요가 있다.
8) 간염
: B형 간염보균자는 임신 중에 영향을 주는 일은 거의 없지만 분만 할 때나 수유할 때 신생아에게 감염 될 수 있으므로 대책이 필요하다. 현재 간염에 걸린 상태라면 치료 후로 임신을 미루는 것이 좋다. 단순 감염자는 아기를 낳자마자 면역 글로불린과 백신을 접종하면 90%이상 감염을 막을 수 있다.
9) 난소종양
: 임신을 유지하는데 큰 지장은 없으나 그냥 두었다가 낭종에 붙은 가느다란 부분이 꼬이면 심한 복통으로 쇼크에 빠질 수도 있다. 낭종이 발견되면 경과를 살피다가 6cm이상 되면 수술을 고려한다. 수술은 대개 임신 4개월 이후에 하는데, 수술 후 태아의 발육 상태를 체크해 발육 상태가 좋으면 자연분만도 가능하다.
10) 자궁근종
: 아기의 발육이나 분만에 영향을 주는 일은 거의 없으므로 발견하더라도 그냥 두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자궁근종이 산도에 있어서 정상분만에 지장을 줄 때에는 제왕절개를 하기도 한다.
: 임질은 임균이라는 미생물에 감염되어 생기는 전염성 질병으로 증상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방치하기 쉬우나 치료하지 않으면 방광과 신장에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나팔관에 전염되면 영구 불임을 초래할 수도 있다. 치료가 가능하므로 방치만 하지 않는다면 임신에 큰 무리는 없다.
2) 심장병
: 임신중에는 태아가 성장함에 따라 태아에게 보내는 모체의 혈액량이 증가한다. 특히 임신 35~36주 사이에는 평소보다 40~50%나 증가함으로 그만큼 심장에 부담이 간다. 따라서 심장 질환이 있는 여성이 임신을 할 경우 조산이나 사산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임신 전에 전문가와 상의하여 임신 가능성을 미리 상의한다. 임신을 한 경우에는 우선 휴식과 수면을 충분히 취하고 절대 무리하지 않는다. 또한 분만 예정일보다 약 2주 전에 입원하여 안정을 취한 다음 출산을 하는 것이 좋으며 출산 후에도 2주 정도 입원하는 것이 안전하다.
3) 저혈압
: 저혈압 때문에 임신을 못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므로 임신 중에 과격한 행동을 피하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4) 고혈압
: 고혈압 때문에 임신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임신중독증에 걸리기 쉽고 이로 인해 혈압이 올라 출산 후에도 위험해 질 수 있다. 따라서 고혈압인 여성은 임신 초기부터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영양을 균형있게 섭취하며 적당한 운동을 해야 한다. 임신 중인 경우에도 일반적인 고혈압 치료와 동일하게 식이요법, 강압제 복용, 안정 등을 취하되 의사와 충분히 상의한다.
5) 만성신장염
: 급성신장염은 완치되면 임신에 지장을 주지 않지만 만성일 경우에는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임신 중독증에 걸리기 쉽다. 이 경우 태아의 발육이 나빠질 뿐 아니라 모체에도 심각한 합병증이 유발되는데 산후에도 그 후유증이 남아 모체 사망률이 약 20~30%에 달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임신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으며 병이 나았다 하더라도 일정한 기간을 두고 혈압과 소변검사를 받아 완치되었는지 확인한 다음 임신을 하는 것 이 좋다
6) 결핵
: 현재 진행성이거나 개방형 결핵인 경우에는 임신을 피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완치된 후나 그 정도가 심하지 않을 때에는 의사와 상의해서 임신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결핵을 앓게 되면 폐활량이 적어 분만시 배에 힘을 충분히 주지 못하므로 제왕절개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또한 태아는 분만과 동시에 엄마와 격리해야하며 모유 수유도 피하는 것이 좋다.
7) 당뇨병
: 당뇨병을 앓으면 임신중독증에 걸릴 확률이 4배 정도 높아진다. 일단 정확한 검사로 임신 전에 당뇨를 발견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식이요법이나 약물 치료를 받았다 하더라도 당뇨병력이 있는 임산부는 임신기간 내내 전문의의 진료를 받을 필요가 있다.
8) 간염
: B형 간염보균자는 임신 중에 영향을 주는 일은 거의 없지만 분만 할 때나 수유할 때 신생아에게 감염 될 수 있으므로 대책이 필요하다. 현재 간염에 걸린 상태라면 치료 후로 임신을 미루는 것이 좋다. 단순 감염자는 아기를 낳자마자 면역 글로불린과 백신을 접종하면 90%이상 감염을 막을 수 있다.
9) 난소종양
: 임신을 유지하는데 큰 지장은 없으나 그냥 두었다가 낭종에 붙은 가느다란 부분이 꼬이면 심한 복통으로 쇼크에 빠질 수도 있다. 낭종이 발견되면 경과를 살피다가 6cm이상 되면 수술을 고려한다. 수술은 대개 임신 4개월 이후에 하는데, 수술 후 태아의 발육 상태를 체크해 발육 상태가 좋으면 자연분만도 가능하다.
10) 자궁근종
: 아기의 발육이나 분만에 영향을 주는 일은 거의 없으므로 발견하더라도 그냥 두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자궁근종이 산도에 있어서 정상분만에 지장을 줄 때에는 제왕절개를 하기도 한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